Post
여객기의 최고 속도는 약 70년간 바뀌지 않았다!?
여객기는 하늘을 종횡무진하며 인간과 세계를 이어주는 존재로 현대 사회에 없어서는 안될 존재입니다. 코로나의 영향으로 여객수요는 급감한 상태이지만 여전히 화물 운송이란 측면에서 항공 운송의 중요성은 조금도 낮아지지 않았습니다. 이처럼 여객기는 매우 편리하고 빠른 이동 수단이지만, 그 역사를 감안하면 조금 이상한 점이 있습니다. 여객기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의외의 사실 중 하나가 여객기의 속도는 1952년 이래로 거의 변함이 없다는 점입니다.
1952년 최초로 취항한 여객기의 최대 시속은 950km였으며, 1958년에 등장한 보잉707의 최고 속도도 965km였습니다. 그리고 맹렬한 속도로 과학의 진보가 이루어지고 있는 오늘날에도, 저 하늘의 여객기는 변함없이 약 시속 950km로 날아다닙니다. 대체 왜 하필 시속 950km일까요? 우리는 그 이상의 속력으로는 날아다닐 수 없는 걸까요? 전세계 항공 우주 관련 과학자들이나 엔지니어들이 멍청한데다 연구개발을 게을리 해서 그럴까요?
그 범인은 대기 중의 분자입니다. 비행기는 양력을 발생시키면서 시속 수백 km의 속도로 앞으로 나아갈 때, 기체의 날개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기 다른 공기 흐름이 발생합니다. 날개 하단에는 기압이 높은 영역이, 날개 상단에는 기압이 낮은 영역이 생겨나는 것이죠.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낮은 기압하에서는 기류가 흐르는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입니다. 즉, 여객기는 음속의 3/4 정도의 속도로 전진합니다만 날개 상단 영역의 공기 분자는 음속보다도 빠른 속도로 흐릅니다.
그런데 이렇게 선행하는 분자는 매우 빠르게 움직이지만 후속 분자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대기 중의 분자는 균일 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속에 도달한 선행 대기 분자는 주위의 분자에 맞춰 속도를 떨어뜨리게 됩니다. 바로 이 음속과 음속 이하의 속도를 경계로 발생하는 기압차 때문에 국소적인 충격파가 발생하는 것이죠. 이 충격파의 후방에는 공기가 퍼져 흐르게 되는데, 그 확산 과정에서 기체의 양력과 추력이 에너지로서 소모되고 맙니다.
이를 유식한 말로 조파저항(Wave drag)이라고 하는데, 이 조파저항 때문에 기체의 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같은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에너지와 연료를 소모하게 됩니다. 고도 10km 상공을 기준으로, 이 조파저항은 시속 850km에서 1300km에 한층 커지고, 음속에서 도달하면 최대가 됩니다. 즉, 경제적 효율성을 고려하여 여객기는 조파 저항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의 속도로 항해하게 되며 결국 여객기의 최고 속도는 1950년대와 다름없이 시속 800~950km 정도로 제한되고 마는 것이죠.
다만, 이 법칙에는 허점이 있습니다. 기체의 속도가 시속 1,300km를 돌파하게 되면 기체 주변에 흐르는 기류도 안정되기에 조파 저항을 우려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1960년대 후반 등장했던 콩코드(Concorde)는 바로 이 점을 활용한 것이었습니다. 콩코드는 음속의 2배 속도로 비행할 수가 있었으며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여객기의 대표주자였죠. 그러나 슬프게도 모든 장애물이 극복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콩코드는 너무 빨라서 공기 저항과 마찰열이 클 수 밖에 없었고, 이 때문에 발생하는 항력(抗力)을 상쇄시키기 위해 막대한 연료 소모를 필요로 했습니다.
콩코드가 대서양을 넘는데 필요한 연료는 승객 1인당 약 1톤 정도였으며, 대서양 왕복항공권의 최고 가격을 현재 가격으로 환산하면 무려 5천 달러에 해당하는 수준이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엄청난 소음과 배기가스를 방출한다는 문제도 있었기 때문에 결국 콩코드는 실패로 끝났고, 여객기의 최대시속은 950km로 되돌아오고 말았던 것입니다. 결국 조파저항을 극복하는, 보다 효율적인 수단이 강구되지 않는 이상 앞으로도 여객기의 최대 속도는 950km로 고정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습니다.
- 한국 음식은 건강에 좋은가?
- 햄버거에 대한 오해들
- 감기, 키스로는 옮지 않아요!
- 신토불이는 영양학적으로 아무런 근거가 없다
- 굴은 서양에서는 엄청난 고급 식재료다
- 녹음된 자기 목소리에 위화감이 드는 이유
- 더위에 강한 사람과 약한 사람은 뭐가 다를까?
- 모기는 몇층까지 올라올 수 있을까
- 도시락 밑에 깔린 스파게티, 그 정체는?
- 생선은 무조건 자연산이 양식산보다 맛있을까?
- 머리를 쎄게 때려 사람을 기절시킬 수 있을까?
- 국산 식품은 무조건 안전하고, 수입산은 위험하다?
- 김치는 원래 빨갛지도 맵지도 않았다!?
- 왜 우리는 비디오 게임을 재밌다고 생각할까?
- 아이들이 쓴맛을 싫어하는 이유
- 껌은 소화되지 않는다?
- 혀를 깨물면 죽을까?
- 육체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뛰어날까?
- 하루세끼를 먹게 된 이유는 발명왕 에디슨 탓
- 우유보다 오이에 더 수분이 많다고?
- 프림은 건강에 나쁘지 않습니다
- 마미 브레인 현상, 임신을 하면 머리가 나빠진다?
- 공포영화를 나체상태로 보면? 공포영화로 스트레스 해소? 공포영화에 대한 이모저모
- 새우 꼬리와 바퀴벌레 날개는 같은 성분
- 찻잔받침의 충격적인 용도
- 광견병 증상이 발현되면 치사율은 100%
- 상처는 핥으면 나을까?
- 하품이 전염되는 심리는 대체 뭘까?
- 정말 아이스크림은 유통기한이 없는 걸까?
- 생수는 수돗물보다 정말 더 안전할까?
- 맥주를 마실수록 수분보충은 커녕 갈증만 심해진다
- 와이파이의 정확한 의미는 없다
- 김치에 유통기한이 있을까?
- 저혈압인 사람이 아침에 약하다고?
- 베이글은 원래 맛없는 빵이었다
- 왜 대부분의 여객기가 흰색일까?
- 자고 있는 사람에게 말을 걸어도 일어나지 않는 이유
- 비행기 기내의 테이블은 사실 조금 기울어져 있다
- 종이에 손가락을 베이면 아픈 이유
- 우리가 살 찌는 걸 알면서도 과식해버리는 이유
- 비행기에 비지니스석이 생기게 된 이유
- 청바지는 왜 "파란색"일까?
- 농구에 백보드가 있는 이유는?
- 수박에 검은 줄무늬가 있는 이유
- 썩은 음식을 먹으면, 왜 배가 아플까? 발효와 부패의 차이는?
- 생선요리에 적포도주가 맞지 않는 이유
- 혈액형 성격설은 언제부터 시작?
- 위조지폐를 신고해도 한국에선 보상이 없다고? 그럼 미국은? 일본은?
- 낮잠을 자면 기억력이 향상된다!
- 기침은 한번에 몇 칼로리?
- 캔 풀탭은 좌우대칭이 아니다!?
- 타이어는 왜 하필 까만색이지?
- 일본식 생선 구이는 왜 나뭇잎을 깔아놓을까?
- 개가 고약한 냄새를 맡아도 기절하지 않는 이유는?
- 바닷물은 왜 다시마 육수맛이 안날까?
- 우리가 기름진 음식을 맛있다고 느끼는 이유
- 요리 레시피에 저작권이 있을까?
- 엘리베이터에 거울이 달려 있는 이유
- 두부 팩에 든 물, 그 정체는?
- 어두운 곳에서 책을 보면 눈이 나빠질까?
- 샤프 꽁무니 지우개가 잘 지워지지 않는 이유
- 뷔페에서 본전 뽑는 방법은?
- 아기는 자동차 엔진소리에 울음을 그친다?
- 의외로 병원에서 쓰이는 "이것"은?
- 딸기 우유에는 사실 벌레가 들어간다
- 우리는 왜 키스를 할까?
- 비행기에 관한 의외의 사실들
- 우리나라는 의외로 ○○형이 많다!
- 가스는 무색무취, 냄새가 없다
- 이쑤시개로 양상추를 오래 보관할 수 있다고?
- 참치캔에 들어 있는 기름은 안 버리는 게 좋다?
- 탄산수로 요리하면 맛있어진다는데?
- 식초를 마시면 정말 몸이 부드러워질까?
- 양치질은 언제 해야 될까? 식사 직후? 아니면 30분 후?
- 밥솥 "보온"은 몇 시간까지 OK일까?
- 왜 뜨거운 음식을 먹으면 콧물이 나올까?
- 물은 왜 술 마시듯 잔뜩 마실 수가 없을까?
'EXㅣ생활정보ㅣ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기기가 작동하는 건 사실 기적에 가깝다!? (0) | 2021.04.15 |
---|---|
스테이크 표면을 구워서 육즙을 가둔다는 건 헛소리 (1) | 2021.04.15 |
식물은 왜 녹색일까? 엽록소가 녹색이라서? 그럼 왜 엽록소는 녹색일까? (0) | 2021.04.14 |
단풍이 드는 이유? 사실 아직 모른다 (2) | 2021.04.13 |
왜 면도날은 빨리 무뎌질까? (0) | 2021.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