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반응형

 식물은 왜 녹색일까?

왜 식물의 잎은 한결 같이 녹색일까요? 이런 질문을 던지면 대부분 이렇게 대답할 것입니다. 식물은 엽록소를 통해 광합성을 하고 있는데, 그 엽록소가 녹색이니까. 그렇다면 한번 더 질문을 던져봅시다. 왜 엽록소는 녹색인가요?  이러면 대부분의 사람들의 대답이 궁색해질 겁니다. 사실, 과학적으로 왜 엽록소가 녹색인지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일설에 의하면 식물이 변동하는 햇빛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엽록소가 녹색을 띄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 세상에는 수천 수만가지의 색상이 있는데 대체 무슨 이유로 녹색을 선택한 것일까요? 

누구나 알다시피 식물은 햇빛을 흡수하고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그렇다면 가장 효율적인 색상은 검은색일 겁니다. 검은색은 모든 빛의 파장을 흡수해버리니까요. 그런데 자연계의 식물들 중 완전히 검은 색깔의 식물은 어딜 찾아봐도 없습니다. 사실 식물이 녹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그 식물이 가장 많이 반사하는 빛의 파장이 녹색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햇빛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녹색 파장이라는 점인데, 이 말은 즉슨 식물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햇빛 중 거의 대부분을 거절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야말로 비효율적이죠.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식물은 가능한한 많은 햇빛을 흡수하기 위해 진화한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변동이 적은 빛을 흡수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고 합니다.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다는 점에서, 인공물로 따지면 식물은 일종은 작은 태양광 발전 설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인간이 만들어낸 발전 설비의 경우 급격한 전압변동에 어느 정도 대응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반면, 식물에겐 그런 복잡한 구조까지는 기대할 수가 없지요. 여기서 문제는 식물에게 내리쬐는 햇빛이 항상 일정할 수는 없다는 점입니다. 다른 잎사귀에게 가려지거나, 갑자기 구름이 걷히기도 하는 등 식물이 받는 햇빛은 그때 그때 항상 변화하고 있습니다. 

즉, 전압이 아무 전조도 없이 수시로 바뀐다는 것이며 이러한 에너지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 식물이 선택한 방법은 흡수하는 햇빛을 제한함으로서 에너지 급증을 막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햇빛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녹색 파장을 거절하고 그 외의 파장만을 흡수함으로서 가장 효율적이면서도 절묘한 균형을 유지하도록 진화한 것입니다. 만약 에너지 효율만을 위해 식물이 모든 햇빛을 흡수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면, 다시말해 식물이 녹색이 아니라 검은색이었다면 햇빛의 변화에 지금보다 훨씬 더 취약했을 겁니다. 정리하자면, 식물이 녹색인 이유는 광합성을 하기에 가장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색깔이 바로 녹색이었기 때문입니다.

더보기
 

단풍이 드는 이유? 사실 아직 모른다

 단풍이 드는 이유? 사실 아직 모른다 가을이 되면 각지에서 볼수있는 단풍. 선명한 오렌지색으로 물든 나뭇잎들을 보고 있으면 "예쁘다"고 생각하며 빠져들고 맙니다. 한편 '아, 이

exidb.tistory.com

 

바닷물은 왜 짤까?

누구나 한번 쯤은 "바닷물이 왜 짤까?"라는 의문을 품은 적이 있었을 겁니다. 이에 대한 초등학교 교과서의 답안은 바닷물에는 소금을 비롯한 온갖 무기염류가 녹아있기 때문에 짜다고 나와

exidb.tistory.com

 

사막에도 홍수가 난다고?

극한 상황의 사막에서는 다양한 자연 현상이 일어납니다. 대표적으로 먼지와 모래가 강풍에 의해 격렬하게 비산하는 모래 폭풍을 들 수 있죠. 사실, 모래 사막이 아니더라도 모

exidb.tistory.com

 

초식동물 주제에 근육이 빵빵한 이유는?

소나 사슴, 말 같은 초식동물은 주로 풀을 먹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붙어있는 근육량은 어마어마합니다. 어째서 풀만 먹는 주제에 근육 빵빵이 될 수 있는 것일까요?  초식동물은 주제에 근육

exidb.tistory.com

 

생태계는 경이로울 만큼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다

 생태계는 경이로울 만큼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다 2016년, 노르웨이 툰드라 지역 하르당에르비다(Hardangervidda) 국립공원에서 순록 323마리가 벼락을 맞고 죽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때 국립공원

exidb.tistory.com

 

반응형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