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생태계는 경이로울 만큼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다
2016년, 노르웨이 툰드라 지역 하르당에르비다(Hardangervidda) 국립공원에서 순록 323마리가 벼락을 맞고 죽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때 국립공원 측은 사체를 수거하지 않고 그대로 두기로 결정했는데, 이런 사체를 방치할 경우 쥐나 구더기가 들끓어 폭발적으로 번식하게 되고 결국 생태계가 훼손될지도 모른다는 비판 여론이 일었습니다. 하지만 정말 이곳의 생태계에 문제가 생겼을까요? 사실, 결과는 달랐습니다.
순록 시체가 썩으면서 벌레와 쥐가 들끓기는 했지만, 이들을 노리고 까마귀나 독수리 등의 새들이 나타났으며, 이 새들을 잡아먹는 여우 같은 큰 동물들이 등장함으로서 자연스럽게 먹이사슬의 순환이 이루어진 것이죠. 이 덕분에 국립공원 측을 비난했던 사람들의 걱정과는 달리, 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지도 생태계가 훼손되지도 않았습니다. 오히려 순록시체가 썩으면서 자연 비료 역할을 하게 되면서 식물군이 번성하였고 이를 먹고 사는 초식동물의 개체수도 대폭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위의 노르웨이의 사례가 이례적인 사건일까요? 그건 아닙니다. 페름기 대멸종(Permian–Triassic extinction event)이 다른 예 중 하나인데, 이 시기에는 달팽이가 세계를 정복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것도 1~2년이 아니라 무려 300만년 동안이나요. 페름기 대멸종은 지구 역사상 최대의 멸종으로, 그 전까지 존재했던 생물종 중에서 전체의 약 96%의 종이 절멸한 사건인데 "종"이 멸종했다는 말은 완전히 없어져서 씨가 말랐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절멸한 개체수는 96%를 아득하게 뛰어넘는 숫자입니다. 당연히 순록 323마리와는 비교도 안되며, 인류에 의한 멸종인 홀로세 절멸(Holocene extinction)조차도 이 페름기 대멸종 앞에서는 명함을 내밀기 어려운 지경입니다.
이런 파멸적인 대멸종 앞에서도 달팽이들은 살아남았고, 그 후 게나 파충류 및 포유류로 명맥이 이어져오고 있습니다. 즉, 자연 생태계의 생명력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도 훨씬 훨씬 강력합니다. 심지어는 당장 전세계에서 동시다발적인 전면 핵전쟁이 벌어져도, 지구 표면이 국지적으로 파괴되고 핵겨울로 인한 기후 변화가 초래되어 인류 문명에 괴멸적인 타격을 줄 지언정 지구 생태계 자체는 무너지지 않을 겁니다. K-Pg 멸종 시기 때도 운석 충돌로 인해 핵겨울이 발생했지만, 결국 지구 생물들은 살아남았습니다.
참고로 공룡을 멸종시킨 K-Pg 멸종의 운석 충돌의 위력은 1~2.4억 메가톤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인류가 만든 가장 강력한 핵폭탄인 차르봄바(50Mt)의 160만배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파괴력입니다. 심지어 현존하는 모든 핵무기를 동시에 폭발시킬 경우 그 폭발 에너지의 합이 약 7천 메가톤이라고 하니, 이보다 1만배 이상 더 거대한 충격을 받고도 지구 생태계는 살아남은 것입니다. 물론 핵무기로 인한 방사능도 일시적인 악영향은 있겠지만, 결국 핵물질의 반감기가 지나면 자연 상태가 회복하게 되기에 전면 핵전쟁이 발발해도 지구의 자연 생태계는 머지않아 회복될 겁니다. 지구 생태계는 연약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끈질기고 경이로운 생명력을 지니고 있죠.
- 모든 동물이 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얼룩말의 줄무늬는 무슨 용도?
- 펭귄은 왜 얼음 위를 맨발로 돌아다녀도 멀쩡할까?
- 고양이들은 왜 상자에 열광할까?
- 물고기는 물을 마실까? 안마실까?
- 열대 지방에는 왜 그렇게 다양한 생물들이 살까?
- 여왕벌은 태생부터 여왕벌이었을까?
- 개에게 초콜릿이 왜 독으로 작용할까?
- 물에 젖은 강아지는 왜 몸을 부들부들 떨까?
- 개, 고양이, 쥐 심지어 침팬치마저 음경에 뼈가 있다!?
- 진짜 하늘에서 물고기가 내리기도 한다!?
- 고래 크기가 지금처럼 커질 수 있었던 이유는?
- 거북은 어떻게 장수할 수 있을까?
- 고양이는 정말 눈이 좋을까?
- 왜 얼룩말은 가축화되지 않았을까?
- 공룡은 새들처럼 지저귀거나 노래했을까?
- 왜 거미줄로는 비단을 만들지 않을까?
- 오직 인간만이 불을 이용하는 것은 아니다!?
- 일부 도마뱀은 달리면서 숨을 쉴수가 없다
- 치타와 자동차가 100m 경주를 하면?
- 고래는 다른 포유류와 뭐가 다를까?
- 개구리는 사실 귀가 없다?
- 개의 노화 속도를 과학적으로 추정하면?
- 혹등고래의 기묘한 습성
- 죽은 거미는 왜 다리를 움츠릴까?
- 물고기들은 왜 무리를 지을까?
- 사슴은 왜 차를 핥을까!?
- 민달팽이는 눈이 없어도 볼수 있다!?
- 판다는 사실 장애동물이다
- 초식동물들은 오이를 잘 먹지 않는다
- 포유류는 왜 지능이 높을까?
- 생태계는 경이로울 만큼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다
- 외래종은 항상 나쁠까?
- 나태한 일개미는 왜 존재할까?
- 쥐의 웃음소리를 들어본 적 있으세요?
- 개가 고약한 냄새를 맡아도 기절하지 않는 이유는?
- 강아지에도 쌍둥이가 있다?
- 치타는 의외로 약골이다
- 코뿔소의 뿔은 뼈가 아니다!?
- 멸종위기종이 되면 오히려 빨리 멸종된다?
- 새는 고추의 매운맛을 느끼지 못한다
- 플라밍고는 지붕이 없어도 도망가지 않는다
- 펭귄은 원래 다른 새의 이름이었다?
- 낙타는 모래폭풍 속에서도 눈을 뜰 수 있다
- 초식동물 주제에 근육이 빵빵한 이유는?
- 왜 칠면조는 영어로 Turkey인가?
- 오직 인간만 가축을 키우는 것은 아니다
- 고래와 돌고래와 범고래의 학술적 차이는 없다
- 북극곰의 저주, 북극곰의 간을 먹으면 죽는다
- 광견병 증상이 발현되면 치사율은 100%
- 토끼는 외로우면 죽어버릴까?
- 꽁치에겐 위가 없다
- 달팽이는 한때 세계를 정복했다!
- 모기는 몇층까지 올라올 수 있을까
- 사자는 의외로 비겁하다
'EXㅣ동물ㅣ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식동물들은 오이를 잘 먹지 않는다 (2) | 2021.03.23 |
---|---|
포유류는 왜 지능이 높을까? (2) | 2021.02.01 |
외래종은 항상 나쁠까? (0) | 2021.02.01 |
나태한 일개미는 왜 존재할까? (0) | 2021.02.01 |
쥐의 웃음소리를 들어본 적 있으세요? (1) | 2021.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