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초식 동물들은 오이를 잘 먹지 않는다?
건강에 좋은 음식이라고 하면 가끔 언급되는 것이 바로 오이입니다. 오이에는 수분이 매우 풍부하면서도 청량감이 있고, 우리 신체가 하루에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비타민을 갖고 있는 야채이죠. 게다가 열량도 낮기 때문에 다이어트에도 상당히 도움이 되서 여성들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이렇듯 오이는 마치 완벽한 식품처럼 좋은 점만 갖추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풀만 뜯어먹고 다니는 진짜 채식 전문가 초식 동물에게는 기피되는 야채 1순위가 바로 오이입니다.
진정한 채식주의자인 초식동물들이 오이를 잘 먹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오이의 성분에 있습니다. 오이의 수분 함유량은 약 96.2%로 거의 대부분이 물입니다. 우리가 주로 "액체"라고 인식하는 우유조차 수분 함유량은 겨우 88.5%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게 얼마나 터무니없는 수치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죠. 수분 보충이라는 측면만 놓고 보면 물을 채워넣은 수통보다 오이가 더 효율적인 수준입니다.
그러나 성분이 거진 물에 가깝다는 것은 반대로 말하면 영양분이 거의 없다는 말과 일맥상통합니다. 오이의 기본 열량은 100g 당 9kcal로 너무나도 낮아서, 오이만 먹어서는 열량을 거의 확보할 수가 없습니다. 오히려 소화하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들 지경이기 때문에, 오이를 먹지 않는 것이 먹는 것보다 열량 확보 측면에서는 더 나을 지경입니다. 그렇기에 야생동물들은 직감적으로 이를 파악하고 오이를 잘 먹지 않습니다. 그래서 동물에게 먹혀져서 번식하는 다른 식물들과는 달리, 오이는 동물을 이용하지 않고 그냥 줄기를 뻗어서 번식하고 있는 것이죠.
- 모든 동물이 토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얼룩말의 줄무늬는 무슨 용도?
- 펭귄은 왜 얼음 위를 맨발로 돌아다녀도 멀쩡할까?
- 고양이들은 왜 상자에 열광할까?
- 물고기는 물을 마실까? 안마실까?
- 열대 지방에는 왜 그렇게 다양한 생물들이 살까?
- 여왕벌은 태생부터 여왕벌이었을까?
- 개에게 초콜릿이 왜 독으로 작용할까?
- 물에 젖은 강아지는 왜 몸을 부들부들 떨까?
- 개, 고양이, 쥐 심지어 침팬치마저 음경에 뼈가 있다!?
- 진짜 하늘에서 물고기가 내리기도 한다!?
- 고래 크기가 지금처럼 커질 수 있었던 이유는?
- 거북은 어떻게 장수할 수 있을까?
- 고양이는 정말 눈이 좋을까?
- 왜 얼룩말은 가축화되지 않았을까?
- 공룡은 새들처럼 지저귀거나 노래했을까?
- 왜 거미줄로는 비단을 만들지 않을까?
- 오직 인간만이 불을 이용하는 것은 아니다!?
- 일부 도마뱀은 달리면서 숨을 쉴수가 없다
- 치타와 자동차가 100m 경주를 하면?
- 고래는 다른 포유류와 뭐가 다를까?
- 개구리는 사실 귀가 없다?
- 개의 노화 속도를 과학적으로 추정하면?
- 혹등고래의 기묘한 습성
- 죽은 거미는 왜 다리를 움츠릴까?
- 물고기들은 왜 무리를 지을까?
- 사슴은 왜 차를 핥을까!?
- 민달팽이는 눈이 없어도 볼수 있다!?
- 판다는 사실 장애동물이다
- 초식동물들은 오이를 잘 먹지 않는다
- 포유류는 왜 지능이 높을까?
- 생태계는 경이로울 만큼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다
- 외래종은 항상 나쁠까?
- 나태한 일개미는 왜 존재할까?
- 쥐의 웃음소리를 들어본 적 있으세요?
- 개가 고약한 냄새를 맡아도 기절하지 않는 이유는?
- 강아지에도 쌍둥이가 있다?
- 치타는 의외로 약골이다
- 코뿔소의 뿔은 뼈가 아니다!?
- 멸종위기종이 되면 오히려 빨리 멸종된다?
- 새는 고추의 매운맛을 느끼지 못한다
- 플라밍고는 지붕이 없어도 도망가지 않는다
- 펭귄은 원래 다른 새의 이름이었다?
- 낙타는 모래폭풍 속에서도 눈을 뜰 수 있다
- 초식동물 주제에 근육이 빵빵한 이유는?
- 왜 칠면조는 영어로 Turkey인가?
- 오직 인간만 가축을 키우는 것은 아니다
- 고래와 돌고래와 범고래의 학술적 차이는 없다
- 북극곰의 저주, 북극곰의 간을 먹으면 죽는다
- 광견병 증상이 발현되면 치사율은 100%
- 토끼는 외로우면 죽어버릴까?
- 꽁치에겐 위가 없다
- 달팽이는 한때 세계를 정복했다!
- 모기는 몇층까지 올라올 수 있을까
- 사자는 의외로 비겁하다
우유보다 오이에 더 수분이 많다고?
일단 오이의 수분함량은 약 96.2%라고 합니다. 즉, 오이를 구성하는 성분의 거의 대부분이 물이라는 소리입니다. 이 수치를 놓고 조금 머리를 굴려보면, 오직 효율성만 놓고 생각해보면 물통에 물
exidb.tistory.com
초식동물 주제에 근육이 빵빵한 이유는?
소나 사슴, 말 같은 초식동물은 주로 풀을 먹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붙어있는 근육량은 어마어마합니다. 어째서 풀만 먹는 주제에 근육 빵빵이 될 수 있는 것일까요? 초식동물은 주제에 근육
exidb.tistory.com
육식동물은 공격적이고, 초식동물은 온화하다?
일반적으로 육식동물은 포악하고 잔혹하며, 초식동물은 온순한 성격이라는 이미지가 있죠. 그러나 이것은 대단히 애매한 정의로, 오직 반만 맞는 말입니다. 육식동물이라고 해서
exidb.tistory.com
아이들이 쓴맛을 싫어하는 이유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옛말이 있는데, 사실 쓴맛은 약의 맛이 아니라 "독"의 맛입니다. 우리가 쓴맛을 느끼고 멀리하는 이유는, 독극물을 섭취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이것이 쉽게
exidb.tistory.com
'EXㅣ동물ㅣ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달팽이는 눈이 없어도 볼수 있다!? (0) | 2021.04.11 |
---|---|
판다는 사실 장애동물이다 (5) | 2021.03.24 |
포유류는 왜 지능이 높을까? (2) | 2021.02.01 |
생태계는 경이로울 만큼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다 (0) | 2021.02.01 |
외래종은 항상 나쁠까? (0) | 2021.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