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반응형

 혹등고래의 기묘한 습성

강아지 중에서는 누가 가장 착할까요? 라는 질문을 받으면 대부분 우리의 천사견, 골든 리트리버를 떠올립니다. 그렇다면 바다에서는 누가 제일 착할까요? 여기에는 의견이 분분하겠지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가장 유력한 후보는 바로 혹등고래(Humpback whale)입니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사람이 먼저 해치려들지 않는 이상 매우 온순하며, 주위에 위험이 있다면 스쿠버다이버들에게 경고를 하거나 실제로 구해주기도 하는 등 사람에게 여러 친절한 선행을 베풀곤 합니다. 여기까지는 다른 고래들과 그렇게 큰 차이는 없지만, 이 혹등고래들은 인간이나 고래 뿐만 아니라 생판 다른 종들의 목숨마저도 구하려든다는, 마치 천사같은 습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생물체는 직접적으로 자기들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고 여겨져왔습니다. 특히, 자기들과는 천적 관계에 있는 동물을 적대하는 경우는 더욱 그렇죠. 그런데 혹등고래는 예외입니다. 이들의 몇 안되는 천적 중 하나가 바로 범고래인데, 혹등고래는 범고래가 다른 동물을 습격하는 장면만 보면 지체없이 현장으로 출동해 범고래를 전력으로 저지합니다. 그런데 오직 같은 종인 혹등고래가 습격당할 때뿐만 아니라 생판 다른 종이 범고래에게 습격당할 때도 개입해서 범고래와 싸웁니다. 

2016년에 발표된 연구 논문에서는 범고래의 공격을 방해한 혹등고래의 사례들을 60년이 넘는 세월 동안 모은 관측기록이 공개되었습니다. 이에 의하면 같은 혹등고래가 공격을 받았던 비율은 겨우 11퍼센트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남은 89%는 혹등고래와는 다른 종인 물개, 바다사자, 돌고래였으며 개중에는 포유류가 아니라 어류인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혹등고래의 구조활동은 10~20분 선에서는 끝나지 않습니다. 혹등고래는 범고래와는 달리 이빨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무기가 될만한 요소는 그 거대한 몸집이나 지느러미, 꼬리 정도이며, 범고래보다는 민첩성이 떨어지는 편이기 때문에 범고래에게 적극적인 공세를 펼치기보다는 표적이 된 동물을 보호하는 편입니다. 보통 여러 마리의 혹등고래가 방어에 참가하며, 이 구조활동은 범고래가 포기하고 철수할 때까지 끈질기게 계속되기 때문에, 최소 몇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것이 보통입니다. 

혹등고래 입장에서는 시간과 에너지를 상당히 빼앗기기 때문에 이런 구조활동은 결코 작지 않은 손해입니다. 게다가 자칫하면 부상당할 위험마저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혹등고래는 적극적으로 다른 동물들을 보호하려 듭니다. 이에 대해서는 아직 설이 분분한데, 과학자들 중 일부는 이런 행위가 혹등고래 무리를 유지하기 위함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으며, 반대로 그저 다른 종을 돕는다는 이타적인 행위를 좋아하는 것이라고 여기는 사람도 있습니다. 뭐, 혹등고래가 정확히 뭘 생각하고 있는지는 대화를 해보지 않는 이상 알 수 없는 노릇이죠.

더보기
 
 

고래와 돌고래와 범고래의 학술적 차이는 없다

해양 포유동물은 매우 특이한 동물입니다. 포유류임에도 불구하고 바다에서 살고 있으며, 아가미가 없으므로 주기적으로 수면까지 올라와서 숨을 쉬어야합니다. 게다가 물을 마

exidb.tistory.com

 

토끼는 외로우면 죽어버릴까?

큰 귀와 뽀송뽀송한 털을 가진 토끼는 귀여운 외관으로 유명합니다. 그 덕분에 개나 고양이 만큼은 아니지만, 애완동물로서 인기가 많은 편이죠. 다만, 토끼는 귀여운 모습과는

exidb.tistory.com

 

돼지는 불결한 동물이 아니다

생물학적으로 돼지와 멧돼지는, 개와 늑대 정도의 차이 밖에 없습니다. 인간에게 가축화되었느냐, 되지 않았느냐죠. 돼지가 가축화되기 시작한 시기는 대략 기원전 6,000년 정도로 추정되며, 초

exidb.tistory.com

 

사자는 의외로 비겁하다

일반적으로 사자는 정정당당하고 용감한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자는 "백수의 왕"이며, 용기・힘・왕권의 상징으로 취급되고 있어, 많은 가문들이 사자를 상징으로 사용해오

exidb.tistory.com

 

강아지에도 쌍둥이가 있다?

 강아지에도 쌍둥이가 있다? 인간 이외 동물 중에서는 일란성 쌍둥이는 거의 태어나지 않는다는 것이 정설이었습니다. 그러나 2016년, 유전자 검사 결과 세계 최초로 일란성 쌍둥

exidb.tistory.com

 

반응형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