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개? 위안스카이? 대체 중국 인명 표기 기준은 뭘까?
원세개? 위안스카이? 대체 중국 인명 표기 기준은 뭘까?
중국에 대해 이것저것 알아가다보면 어느새 역사나 문화 분야에도 발길이 미치게 되고 결국 근대에까지 이르게 되면 아주 기묘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원래 등장하던 인물들이 아니라 갑작스레 듣도 보도 못한 사람들이 친근한 척 등장하고, 나중에 알고보니 결국 같은 사람이었다는 당혹스러운 경험을요. 예를 들면, 1918년 광인일기를 발표한 노신(魯迅)과 1921년에 발표된 아큐정전의 저자 루쉰이 동일인물이라거나, 명백히 원세개(袁世凱)라는 이름의 한족임에도 불구하고 이름 때문에 가끔씩 서양인으로도 오해받는 위안스카이, 대다수의 사람들이 손씨 가문의 일원일거라고는 상상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쑨원(孫文)에 이르기까지 이 혼란의 스펙트럼은 넓고도 깊습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바보 같은 현상이 발생하고 있을까요? 이는 국립국어원에서 지정한 중국어 한글 표기법에 따라, 중국 인명 표기법이 둘로 나뉘기 때문입니다.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제2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제1항 중국 인명은 과거인과 현대인을 구분하여 과거인은 종전의 한자음대로 표기하고, 현대인은 원칙적으로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2항 중국의 역사 지명으로서 현재 쓰이지 않는 것은 우리 한자음대로 하고, 현재 지명과 동일한 것은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3항 일본의 인명과 지명은 과거와 현대의 구분 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한다.
제4항 중국 및 일본의 지명 가운데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관용이 있는 것은 이를 허용한다. 상하이/ 상해, 타이완/ 대만, 황허/ 황하, 도쿄/ 동경
위의 제1항에서 과거인과 현대인을 구분하는 기준은 1911년에 발생한 신해혁명(辛亥革命)을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중국 국내에서도 신해혁명을 중국 현대사의 시발점으로 간주하는 것이 중론이니, 현 시점에서 이 기준은 나름대로 합당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국립국어원은 1911년 이후에 태어나거나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사람들은 현대인으로 분류하여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인명 표기를 하며, 1911년 이전에 죽은 사람들은 과거인으로 분류하여 우리 한자음대로 인명 표기를 하는 것이죠. 이때 문제가 생기는 것은 1911년을 전후로 활동한 사람들인데, 이들은 상기 기준에 발맞춰 모두가 2개의 이름을 지니게 됩니다. 위에서 언급한 루쉰, 위안스카이, 쑨원 모두 이에 해당하죠. 이런 까닭에 중국 근현대사에는 수없이 많은 이명동인(異名同人)이 등장하며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혼란에 빠지고 말죠.
다만 신해혁명 이전 인물들을 모두 과거인으로 묶어서 한국식 한자음대로 표기하는 것도 약간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한국 관점에서 보면 기존의 공자왈 맹자왈하던 텍스트들을 수정하지 않아도 되니 편한 일이지만, 이는 중국인들과 교류할 때는 불리하게 작용하니까요. 예를 들어 중국 역사에 대해 중국인과 논할 때 공자, 맹자 이야기를 꺼내도 도저히 통용되지 않는데, 이는 전세계에서 孔子와 孟子에 대해 "공자", "맹자"로 부르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기 때문입니다. 도리여 영문 명칭인 Confucius, Mencius라고 지칭하는 편이 훨씬 더 알아들어줄 가능성이 높죠. 공자, 맹자의 중국어 발음은 엄연히 꿍쯔, 멍쯔에 가까우며 이런 문제 탓에 중국어에 대해 잘 알고 못 알고를 떠나서, 한국어식으로 배운 중국 역사속 인물들의 이름을 죄다 중국어로 변환해야할 수고를 들이지 않으면 중국인과 중국 역사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반대로 인명과 지명은 과거와 현대의 구분 없이 일본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일본과는 사뭇 대조적인데, 일본인들과 교류할 때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등 한국에서 통용되는 인명을 꺼내면 척하고 쿵하고 알아듣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러한 논란은 우리나라에서 특히 거세게 일어나는 편인데, 같은 한자문화권인 일본의 경우 원래 한자에 익숙한데다 인명을 한자로 표기하기 때문에 여차하면 필담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중국 과거인이든 현대인이든 기본적으로 한자가 아닌 한글로 표기하고 있어서, 한자에 익숙한 한국인이라도 중국인 한자명을 따로 기억하고 있지 않는 이상은 필담마저 제약을 받는 것이 현실이죠. 이 때문에 신해혁명 이전의 인명도 중국어 원음에 따라 한글로 표기해야 한다는 주장도 주류는 아니지만 있다고 합니다.
- 미국 수화와 영국 수화는 다르다고!?
- 근대 이전까지는 중국문명이 서양문명보다 앞서 있었을까?
- 북유럽에는 왜 섬이 많을까?
- 호주는 정말 위험한 대륙일까?
- 지구상에서 가장 지옥같은 곳은 어디일까?
- 세계 정복이 불가능했던 이유는 뭘까?
- 왜 중국은 한반도를 정복하려 했을까?
- 임진왜란 당시 조선과 일본의 국력 비교
- 동남아는 땅도 비옥한데 왜 발전이 늦었을까?
- 중국과 인도에는 왜 그렇게 인구가 많을까
- 아프리카의 주요 종교는?
- 에펠탑의 높이는 변화한다
- 세계 최대의 1인당 전력소비국가는?
- 일본 국내에 중국(中国)이 있다고!?
- 젓가락도 나라 별로 다르다!?
- 인구 수보다도 회사 수가 더 많은 나라가 있다!?
- 영국에선 최근까지도 노예제가 있었다!?
- 초밥집 전문용어 "샤리", "아가리", "무라사키" 그 유래는?
- 스위스의 핵 방공호 보급률은 100%!?
- 인도인은 정말 매일 카레를 먹을까?
- 야한 색깔은 나라마다 다르다
- 일본 백화점 안내방송의 비밀
- 일본 음식점에서 전화는 안되지만 대화는 해도 되는 이유
- 인도 식문화가 스마트폰 보급으로 변화하고 있다
- 일본식 교자에 마늘이 많이 들어가는 이유
- 에베레스트산 정상에서도 폰은 쓸 수 있을까?
- 카스피해는 2018년에야 바다가 되었다
- 중동지역에서 석유가 많이 나는 이유
- 러시아 우주비행사들이 총기를 휴대하는 이유는?
- 메이드 인 차이나(Made in China)는 싸구려가 아니다!?
- 사하라 사막의 인구수는 대한민국 수도권에 필적한다.
- 사계절은 한국에만 존재한다? 사계절에 대한 오해들
- 일본에선 태풍을 "번호"로 부른다
- 스위스의 산타클로스는 의외로 공포의 존재
- 이탈리아에 치즈 대출이 존재하는 이유
- 일본에서 뷔페를 바이킹이라고 부르는 이유
- 영어에는 존댓말이 없다고 오해하게 되는 이유
- 해외여행시 주의! 특이한 해외 법들
- 일본 천황은 어째서 왕(King)이 아니라 황제(Emperor)라고 불리는 것일까?
- 지구 어디든 여권 없이 갈 수 있는 사람이 있다
- 후지산 높이는 계속 낮아지고 있다?
- 스위스에 해군이 존재한다고?
- 세계에서 두번째로 긴 해안선을 가진 나라는 노르웨이?
- 자판기만으로 된 레스토랑이 있다!? 일본 오토 레스토랑
- 야외음주는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불법행위!
- 알라딘은 사실 중국인이다!
- 왜 일본의 영문 명칭이 JAPAN인가?
- 일본 안내견들은 영어로 훈련받는다!
- 런던 버스가 빨간색인 이유
- 바디랭귀지는 만국 공통어일까?
- 대만의 술문화: 대만의 건배(乾杯)는 무섭다
- 일본 라이트노벨에 긴 문장형 제목이 많은 이유
- 중국 요리에는 생선회가 없다?
- 왜 하필 동아시아에는 강국들이 모여있을까?
- 전투민족들이 몰락할 수 밖에 없는 이유
- 일본어 자막은 왜 반말이 많을까?
- 전쟁범죄를 저질러도, 전세계에 친일국가가 많은 이유
- 와노쿠니(和の国), 일본에는 왜 이지메가 있을까?
- 일본 관료제는 무능한가?
- 런던에는 또 다른 런던이 있다!
- 아서왕은 잉글랜드인이 아니다!
- 세계 대머리률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