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R&D 투자한다고, 과학기술 포인트가 1점 추가 될까?
우리는 매년 어느 나라 어느 기업은 R&D 예산을 얼마 편성했고 어느 부문에 중점적으로 투자할 것이다, 라는 기사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국민들이 모두 피부로는 느끼고 있지는 않겠지만 대한민국은 세계에서도 가장 열성적으로 R&D 투자를 실시하는 나라 중 하나입니다. 2019년 기준, 대한민국의 R&D 투자액은 PPP기준 세계 5위($100,055B)인데 이를 1인당 R&D 투자액으로 환산하면 명실상부 세계 1위이죠. 영토도 협소하고 자원도 부족하니, 그나마 있는 인적자원으로 메꿔나가야한다는 논리인데 찬찬히 생각해보면 딱 하나, 마음에 걸리는 부분이 생길겁니다.
R&D라는 분야는 제조업도 아닌데, 투자하면 그만큼의 대가가 정말 되돌아오는 것일까? 이 의문은 지극히 타당합니다. 게임이나 만화영화에서야, 돈이나 인재 같은 자원을 갈아넣으면 하늘에서 뿅하고 과학기술 포인트가 1포인트씩 추가되는 것마냥 묘사하지만,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기관에 발가락 하나라도 담궈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그야말로 코웃음칠만한 묘사이니까요. 복잡다단한 연구 과정을 굳이 그릴 필요가 없으니 그렇게 단순화한 것이지만, 이 때문에 투자하면 무조건 결과로 이어진다는 대중적 오해를 불러일으키기 쉬우며, R&D 현직자들마저 예산확보에 용이하니까 굳이 그 오해를 적극적으로 해명하려 들지도 않죠.
그럼 대체 R&D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질까요? R&D의 주체에 따라 방식은 다르긴 한데, 가장 잘 알려진 구분으로는 기초 연구(Basic research), 응용 연구(Applied research), 개발 연구(Experimental development)로 나누곤 합니다. 성격이나 내용은 제각기 다르지만 이 모든 연구행위가 지닌 공통점은 "수많은 가능성을 시험해보고, 그 결과를 비교하고, 그 중 가장 나은 것을 찾아내는 프로세스의 반복"이라는 점입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알 수 있는게, 기존의 방식으로는 기존의 결과밖에는 만들어내지 못합니다. 그러니 지금까지 해본 적이 없는 가능성을 시험해봐야 진보도 있을 수 있는 것이죠.
그런데 R&D 투자를 늘리면 연구자 수를 좀 더 확보하여 병렬연구를 진행하거나, 좀 더 효율적인 도구를 구입해 연구효율을 향상시키거나, 예산 문제로 기존에는 시도조차 못했던 가능성을 시험해볼 수 있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연구 진척 속도가 증가하거나 아웃풋이 많아지게 되며, 이는 R&D의 성과가 개선될 확률을 높이게 되죠. 따라서 토마스 쿤이 정의한 정상과학(Normal science)의 궤도에 올라선 시점을 전제로 하면, R&D 투자 규모와 R&D 성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단언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사실 이는 비단 R&D 뿐만 아니라 모든 학문이 그렇습니다. 새로운 접근법을 취하거나, 기존에는 규명되지 않았던 새로운 대상을 연구하는 등 참신함을 더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의 대상에게 기존의 데이터를 가지고 기존의 접근법을 취해봐야 똑같은 내용의 논문이 나올 뿐입니다. 자신의 연구가 망할지도 모른다는 위험을 무릅쓰고, 새로운 내용을 조금씩 추가해나가던 용감한 연구자들의 노력과 헌신에 의해 과학을 비롯한 모든 학문의 외연이 보강되어 온 것입니다.
- 일본은 어떻게 기술 강국이 되었나?
- 인류 역사상 가장 큰 회사는?
- 농업은 정말 자연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할까?
- 일물 일가의 원칙(The Law of One Price)과 그 한계
- 블랙 기업의 유래
- 분수 이론과 그 문제점
- 낙수이론과 그 한계
- 1L 우유팩은 사실 1L가 아니다?
- 일벌은 정말 근면할까? 하루 노동시간은?
- 던킨 도너츠와 미스터 도넛의 관계는?
- 동전에 제조연도가 새겨져 있는 이유
- 드라마 속 회장님들은 왜 다들 국산차를 선호할까?
- 자판기 품절 표시는 거짓말이다
- 통조림 캔은 왜 원기둥 모양이나 직육면체 모양일까?
- 미국의 여객 철도 사업은 무능한 마인드 탓에 쇠퇴했다?
- 생산 자동화(Production Automation)의 장점과 단점
- 전세계 주요국 수출액 규모 비교
- 노벨상에 대한 몇가지 오해 -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 수는 저평가되어 있다
- 노벨상에 대한 몇가지 오해 - 일본이 노벨상을 받는 이유
- 노벨상에 대한 몇가지 오해 - 한국이 노벨상을 받지 못하는 이유
- 노벨상에 대한 몇가지 오해 - 노벨상은 그 나라의 국력을 반영한다?
- 올림픽의 저주
- 청나라는 정말 대외무역을 등한시했을까?
- 만주는 항상 소외받고 낙후된 지역이었을까?
- 인디언들은 왜 북미대륙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을까?
- 한국은 정말 중국에게 작은 나라에 지나지 않을까?
- 알루미늄은 한때 금보다 비쌌다!?
- 한국 반도체・조선은 세계 최고인데, 왜 GDP는 12위?
- 우주 비행사의 급여는 생각만큼 높지 않다
- 종이 재활용은 정말 친환경적일까?
- 이쑤시개 끝부분 홈, 왜 존재할까?
- 비싼 물건은 항상 비싼 값을 할까?
- QR코드 개발에는 의외로 "이것"이 관여했다!?
- 자동차를 살 수 있는 자판기가 존재한다고!?
- 왜 옷 사이즈가 달라도 가격은 그대로일까?
- 양말의 각도는 왜 직각이 아닐까?
'EXㅣ경제ㅣ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과 LG가 세계 PC 시장에선 쩌리신세라고!? (1) | 2021.04.16 |
---|---|
플라스틱은 거의 재활용되지 않는다!? (0) | 2021.04.14 |
청나라는 정말 대외무역을 등한시했을까? (14) | 2021.04.02 |
만주는 항상 소외받고 낙후된 지역이었을까? (0) | 2021.03.31 |
인디언들은 왜 비옥한 북미대륙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을까? (5) | 2021.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