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현재, 메이드 인 재팬이라고 하면 가성비는 둘째치고, 기술력은 좋다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인식은 대체 언제부터였을까요? 메이지 유신부터? 2차 세계대전 종전후?
INDEX
1. 일본 기술은 처음부터 세계 제일?
2. 일본 기술의 히든 챔피언
3. 한국은 이것이 어째서 불가능했는가?
1. 일본 기술은 처음부터 세계 제일?
양차 세계대전 직후, 즉 1950년대까지만 해도 일본 제품의 기술력은 형편없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도, 공업 기술력으로는 다른 열강에 비해 뒤떨어졌었을 정도였고, 세계대전 직후에는 미군의 폭격으로 도쿄를 포함한 대도시 대부분이 파괴되었기에, 기술력은 더더욱 열화되었던 것입니다.
1950년대까지만해도, 일본 상품의 국제 경쟁력은 실질적으로 전무했습니다. 미국이나 유럽에 비교해 볼때,당시 일본 제품은 기술수준이나 가격 면에서 도저히 경쟁상대가 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미국 시장이나 유럽시장에서 일본 제품이란, 잔고장의 대명사이자 웃음거리에 불과했지요.
당시 메이드 인 재팬이라고 하는 것은,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메이드 인 차이나에 대한 이미지와 일치했습니다. 품질은 별로지만, 싼맛에 쓰는 제품.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습니다. 그렇기에 일본 기업들은, 자사 제품의 수출가격을 국내가격보다 상당히 낮게 책정하는 것으로 간신히 해외 시장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이것이 가능했을까요? 그 이유는, 일본의 거대한 내수시장 덕분이었습니다. 전쟁 직후, 거의 폐허나 다름없게된 일본이었지만 운 좋게도 한국 전쟁이 터졌고, 이것이 조기 봉합되지 못하고 3년동안 질질 끌었습니다. 이 전쟁 특수 덕분에 일본의 내수 시장이 커질 수 있었고, 수출가격을 국내가격보다 낮게 책정하여 본 손실을 내수 시장에서 만회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2. 일본 기술의 히든 챔피언
일본은 초기에는 내수 시장에 기대는 형태 경제를 발전시켜왔지만, 1950년대의 선진기술을 답습하던 단계를 지나, 60년대로 접어들자 분위기는 반전됩니다. 이 시기가 되자, 일본은 국내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때로는 국내가격보다도 더 높은 가격으로 해외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을 만큼의 높은 기술력을 축적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이 가능했던 원동력은 중국이나 한국의 경제 발전 모델 같은, 정부의 보조금이나 투자가 아니었습니다. 경쟁적 과점 구조를 통한 대기업 간의 경쟁이었습니다. 당시 일본의 모든 핵심 산업은, 주요 대기업들 간의 각축장이었습니다. 이들은 다른 대기업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품질개선과 기술 개발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런데 동시에, 대기업들도 자신들만의 힘으로는 경쟁에서 살아남기 힘들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소재・부품을 공급하는 중소 하청 기업들도 이에 동참하여, 생산성 향상을 통한 원가절감 및 품질향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습니다. 이 결과, 경쟁을 통한 효율성 증대가, 대기업 뿐만 아니라 중소 기업 수준에서도 이루어졌고, 이를 통해 일본이 현재의 기술력에 도달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것이 현재 기계 분야에 있어서, 일본의 기술력이 여전히 세계 최고인 이유입니다. 대표적으로, 현재 일본 경제의 대들보인 자동차 산업은, 기본적으로 관련된 수많은 하청업체들의 품질 관리가 되지 않고서는 애초에 성립될 수 없는 이야기입니다. 매우 까다로운 것으로 유명한 일본 자동차 부품의 품질 기준을, 지금껏 만족시켜왔다는 점에서, 일본 중소기업들의 저력을 가늠해볼 수 있겠죠.
3. 한국은 이것이 어째서 불가능했는가?
한국과 일본은, 사실 시작점부터 달랐습니다. 한국전쟁은 단독으로도 세계대전에 준하는 규모의 대규모 전쟁이었으며, 약 400만 명에 달하는 병력이, 일본 전토의 절반을 조금 넘는 면적의 한반도에서, 3년동안 치고 받았습니다. 따라서 전쟁 직후의 한국은, 패전 직후의 일본보다도 더 황폐화된 상태였습니다.
따라서, 세계 대전 직후의 부흥의 기세를 타고 화려하게 재기에 성공할 수 있었던 일본과는 다르게, 한국은 이보다 한발 늦게 세계 시장에 참여하게 되었던 겁니다. 당시 한국은 기술력도 내수시장도 아무것도 없는 상태였습니다. 심지어 한국전쟁도 완전히 종결되지 않은 탓에, 막대한 국방비를 지출해야만 했고요. 미국의 원조 덕분에, 겨우 현상유지를 하는 수준이었습니다.
그 상황에서의 돌파구가, 한일 기본조약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얻은 자금 및 차관으로, 한국은 공장을 짓고 설비를 구입하여 공업국가로서 도약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단, 일본처럼 기반이 되는 중소 하청 기업이 없었기 때문에, 핵심 소재/부품은 전부 수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죠.
한국 대기업과 일본 대기업의, 하청 업체에 대한 관행의 차이가 여기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한국의 대기업같은 경우, 원래 소재/부품을 공급하는 하청업체의 기술이 부족하면, 기술을 가진 외국기업과 제휴하여, 시장 상황에 빠르게 대응하려는 경향이 높습니다. 현재 한국의 핵심 소재/부품의 외국 의존도가 높은 이유가 여기에 있죠.
그런데 일본 대기업이라면, 원래 거래관계에 있던 기존의 하청업체와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여, 해당 기술을 안정적으로 관리 및 조달받으려 합니다. 이런 일본의 방식은, 대응 속도는 느릴지언정 장기적인 측면에서 이득이 큽니다. 특히 지금처럼 일한 무역 마찰과도 같은, 외교 마찰로 인한 피해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죠.
- 일본은 어떻게 기술 강국이 되었나?
- 인류 역사상 가장 큰 회사는?
- 농업은 정말 자연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할까?
- 일물 일가의 원칙(The Law of One Price)과 그 한계
- 블랙 기업의 유래
- 분수 이론과 그 문제점
- 낙수이론과 그 한계
- 1L 우유팩은 사실 1L가 아니다?
- 일벌은 정말 근면할까? 하루 노동시간은?
- 던킨 도너츠와 미스터 도넛의 관계는?
- 동전에 제조연도가 새겨져 있는 이유
- 드라마 속 회장님들은 왜 다들 국산차를 선호할까?
- 자판기 품절 표시는 거짓말이다
- 통조림 캔은 왜 원기둥 모양이나 직육면체 모양일까?
- 미국의 여객 철도 사업은 무능한 마인드 탓에 쇠퇴했다?
- 생산 자동화(Production Automation)의 장점과 단점
- 전세계 주요국 수출액 규모 비교
- 노벨상에 대한 몇가지 오해 -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 수는 저평가되어 있다
- 노벨상에 대한 몇가지 오해 - 일본이 노벨상을 받는 이유
- 노벨상에 대한 몇가지 오해 - 한국이 노벨상을 받지 못하는 이유
- 노벨상에 대한 몇가지 오해 - 노벨상은 그 나라의 국력을 반영한다?
- 올림픽의 저주
- 청나라는 정말 대외무역을 등한시했을까?
- 만주는 항상 소외받고 낙후된 지역이었을까?
- 인디언들은 왜 북미대륙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을까?
- 한국은 정말 중국에게 작은 나라에 지나지 않을까?
- 알루미늄은 한때 금보다 비쌌다!?
- 한국 반도체・조선은 세계 최고인데, 왜 GDP는 12위?
- 우주 비행사의 급여는 생각만큼 높지 않다
- 종이 재활용은 정말 친환경적일까?
- 이쑤시개 끝부분 홈, 왜 존재할까?
- 비싼 물건은 항상 비싼 값을 할까?
- QR코드 개발에는 의외로 "이것"이 관여했다!?
- 자동차를 살 수 있는 자판기가 존재한다고!?
- 왜 옷 사이즈가 달라도 가격은 그대로일까?
- 양말의 각도는 왜 직각이 아닐까?
'EXㅣ경제ㅣ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 왜 자영업자가 많을까? (0) | 2019.08.25 |
---|---|
올림픽의 저주 (0) | 2019.08.21 |
인류 역사상 가장 큰 회사는? (0) | 2019.08.04 |
농업은 정말 자연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할까? (0) | 2019.07.28 |
일물 일가의 원칙(The Law of One Price)과 그 한계 (0) | 2019.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