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비활성화되지 않습니다, 죽을 때까지
뇌는 인간의 신체 기관 중에서도 가장 이해하기 힘든 존재입니다. 인간의 뇌는 보통 약 140억 개의 신경세포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며, 개별 뉴런들이 시냅스를 통해 전기 화학적 신호를 주고받으며 사고작용이 진행됩니다. 이 작용은 우리가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부터, 하루 동안의 일상생활을 마치고, 다시 잠자리에 들고, 그 다음날 잠자리에서 일어나 일상생활을 시작하고, 다시 잠자리에 들고... 죽음의 순간에 이를 때까지 끊임없이 계속됩니다. 즉, 뇌는 쉬지 않습니다.
뇌는 비활성화되지 않습니다, 죽을 때까지
뇌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 중 하나가, 뇌의 일부분만 활성화되기도 한다는 속설입니다. 사실 뇌를 스캔해보면, 그 중 일부분만 활성화되어 사용되는 것처럼 보이기는 합니다만, 실제로는 언제나 뇌 전체는 활성화되어 있으며 특정 상황 아래에서, 특정 부위만 상대적으로 더 활성화되어 있는 것입니다. 심지어는 뇌가 휴식을 취한다고 생각하기 쉬운 수면상태일 때조차, 단지 의식이 없을 뿐이지 뇌 자체는 렘수면과 논렘수면을 번갈아가며 깨어있는 상태입니다. 실질적으로 뇌 전체가 완전히 비활성화되어 진정한 의미의 휴식을 취하게 되는 경우는, 오직 죽음뿐입니다.
우리가 잠든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렘수면 상태일때 우리는 꿈을 꾸고, 논렘수면 상태일 때는 뇌청소가 실시됩니다. 이 논렘수면 상태에 접어들게 되면 뉴런들은 순차적으로 활동을 정지하고, 혈액공급이 일시적으로 차단되면서 뇌세포 사이의 공간이 넓어지게 됩니다. 이 공간에 뇌척수액이 흘러들어가 뇌세포 내의 독소나 노폐물들을 제거하게 되고, 이 독소들은 간으로 보내서 정화작용을 거치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밤사이에 우리 뇌에서 벌어진 대청소 작업을 깨닫지 못한채, 그저 개운한 느낌으로 잠에서 깨어나 아침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죠. 가끔 우리는 머리를 너무 많이 사용하면 피곤해진다고 느낄 때가 있는데, 뇌가 지쳐있는 것이 아니라 눈이 지쳐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눈을 지그시 감거나 따뜻한 수건 같은 것을 가져다 대면 피로가 해소되는 것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실 애초에 뇌에는 신경이 없습니다. 뇌가 바늘에 찔려도, 뇌의 일부가 잘려나가도 우리는 아프다는 감각을 느낄 수 없습니다. 통각뿐만 아니라 그 어떤 감각도, 뇌에서는 오지 않습니다. 다만, 눈과 같은 신체기관으로부터 오는 피곤하다는 감각과 사고능력 저하를 경험함으로서, 우리는 뇌청소를 해야할 시기가 다가왔음을 본능적으로 깨닫게 되고, 수면을 취하게 되는 것이죠.
여담이지만 식물인간이라는 단어가 뇌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키곤 합니다. 사실 식물인간 상태라고 하면 인간의 뇌 중 대뇌의 기능만 정지되었을 뿐이므로 스스로 호흡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렇기에 매우 낮은 확률이긴 하지만 다시 의식을 회복할 가능성이 있죠. 또 기본적인 생명기능은 살아 있기 때문에 평균 1~2년까지는 생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뇌사는 다릅니다. 뇌사는 전체 뇌의 기능이 손상되어 자발적인 호흡조차 불가능할만큼 뇌 기능이 완전히 정지된 상태를 말합니다. 의학적인 보조를 통해 호흡이나 심장박동을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는 있어도 절대 오래가지 못하며 기껏해야 2주 정도가 한계이죠. 이렇다보니 뇌사 상태에서 의식을 회복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다만 국내외를 막론하고 수많은 사람들이 뇌사 상태와 식물인간 상태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거나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뇌에 대한 오해가 부채질되는 경향이 있죠.
- 생물의 존재의의에 대한 고찰
- 과학자에 대한 두 가지 오해
- 육식동물은 공격적이고, 초식동물은 온화하다?
- 고장난 기계는 때리면 고쳐질까?
- 핵전쟁이 일어나도 지구는 멸망하지 않는다!?
- 인간이 최강의 생물인 이유
- 죽기 직전에도 청각만큼은 살아있다
- 토끼는 외로우면 죽어버릴까?
- 꽁치에겐 위가 없다
- 인간의 순간 최대마력은?
- 달팽이는 한때 세계를 정복했다!
- 하늘에서 내리는 눈은 무슨맛? 사실 먼지맛
- 에어컨 냉방 25℃와 난방 25℃는 왜 같은 온도가 되지 않을까?
- 왜 C형 혈액형은 없을까?
- 더우면 왜 두뇌회전이 잘 안될까?
- 육식을 하면 성격이 포악해진다?
- 사자는 의외로 비겁하다
- 닭이 먼저인가 달걀이 먼저인가?
- 바닷물은 왜 짤까?
- 돼지는 불결한 동물이 아니다
- 왜 우리는 물고기가 바보라고 생각했을까?
- 초식동물 주제에 근육이 빵빵한 이유는?
- 헬리콥터는 엔진이 멈춰도 곧바로 추락하지 않는다!?
- 코에 물이 들어가면 찡~하고 아픈 이유
- 컴퓨터 버그(bug)는 사실 진짜 곤충(bug)이었다!?
- 진짜로 총알이 미사일보다 속도가 빠를까?
- 사막에도 홍수가 난다고?
- 다이아몬드는 사실 불에 탄다
- 고래와 돌고래와 범고래의 학술적 차이는 없다
- 지우개를 급격히 냉각시키면???
- 운동신경은 실제로 존재할까?
- 간지럼 공격에 웃음이 터지는 이유
- 코호흡은 사실 한쪽 콧구멍만 사용하고 있다
- 브레인록 현상, 뇌가 죽음을 받아들이면 정말로 죽는다
- 북극곰의 저주, 북극곰의 간을 먹으면 죽는다
- 뇌는 비활성화되지 않습니다, 죽을 때까지
- 물 속에서는 가위로 유리를 자를 수 있다!?
- 새우나 게를 삶으면 왜 빨갛게 변할까?
- 장마철 세탁물에서 냄새가 나는 원리
- 강아지에도 쌍둥이가 있다?
- 치타는 의외로 약골이다
- 코뿔소의 뿔은 뼈가 아니다!?
- 비행기 착륙시 들리는 충격음의 비밀
- 먼지는 왜 하필 회색일까?
- 비행기는 후진을 안한다!?
- 새는 고추의 매운맛을 느끼지 못한다
- 플라밍고는 지붕이 없어도 도망가지 않는다
- 식후 복용하는 약을 식전에 먹어도 될까?
- 생선살 색깔이 다른 이유
- 거품으로 소음을 줄일 수 있다고?
- 낙타는 모래폭풍 속에서도 눈을 뜰 수 있다
- 판다는 사실 장애동물이다
- 초식동물들은 오이를 잘 먹지 않는다
- 포유류는 왜 지능이 높을까?
- 자연사는 정말 고통이 없을까?
- 생태계는 경이로울 만큼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다
- 나태한 일개미는 왜 존재할까?
- 쥐의 웃음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 깜짝 놀라면 왜 죽을까?
- 나이 먹을 수록 키가 작아진다고?
- 잘린 머리카락에는 DNA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 수학을 못하면 과학자가 될 수 없다?
- 과학자들은 SF를 싫어할까?
- 과학자는 왜 희귀한 직업일까?
- 과학기술의 발전속도는 이미 둔화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