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반응형

 

 

과학자라는 직업은 굉장히 희귀합니다. 우리 주변에 흔히 볼 수 없는 직업 중 하나죠. 사실, 자신이 과학자라고 자칭하는 사람은, 정말 괴짜가 아닌 이상 아주 드뭅니다. 왜냐하면 "직업"이란 생활의 기본적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계속적 소득활동을 의미하는데, 과학 연구에만 전념하는 것으로는 소득이 없으므로 과학자는 "직업"으로서 성립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진짜 과학자라는 범주에 드는 사람들에게 직업을 물어보면 대개 연구원이라든지 대학 교수라던지하는 대답이 돌아옵니다. 이런 사람들은 보통 주변에 과학자라고 인식되지 않으며, 따라서 과학자라는 직업이 가진 이미지는 대중매체에 의해 만들어진 스테레오 타입에 의해 결정되기에 이릅니다. 그래서 과학자에 대한 오해가 생겨나는 거죠.

 

 

 과학자들은 SF를 싫어한다?

 

과학자들은 기본적으로 논리성과 합리성을 중시하며 이성적으로 사고한다는 이미지가 있습니다. 이에 반해 Science Fiction 즉 공상 과학이라는 것은 시간여행이라던가 워프처럼 터무니 없고, 현실적으로 말도 안되는 환상을 지어내서 현실을 호도하니, 과학자들은 SF를 싫어하지 않을까 하는 편견이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정반대입니다.

 

많은 과학자 중에는 어릴적부터 SF를 보며 꿈을 키워온 케이스가 많고, 그 중에서도 어릴적의 상상 속의 산물들을 과학적 사실로 증명하기 위해 덤벼드는 과학자도 있습니다. 반대로, 과학자가 자신의 지식을 살려 SF소설을 쓰는 케이스도 많죠.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SF에서 등장하는 아이디어가 완전한 작가의 창작이 아니라, 실제 존재하는 가설에서 기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는 상용화가 거의 눈앞에 다가와있는 자동운전이나 인공지능도, 십수년 전까지만 해도 SF였죠. 애초에 제대로된 SF라는 것은, 과학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이 없으면 쓸 수 없습니다. 어떤 과학적 지식과 상식에도 근거하지 않은 허황된 공상만으로는 SF라는 평가를 받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타워즈>나 <은하영웅전설> 같은 것들은 과학적 픽션(Science FIction)이라고 부르지 않고, 과학과는 관계가 없는 스페이스 오페라라고 따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수학을 못하면 과학자가 될 수 없다?

 

과학은 정말 좋아하지만, 수학이 싫어서 문과를 선택하는 고등학생은 정말 많습니다. 분명 학은 거의 모든 분야의 과학에 활용되는, 과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도구이지만, 그렇다고해서 수학=과학인 것은 아닙니다. 물론 정량분석과 수학적 논리전개가 요구되는 물리학, 화학, 분자 생물학에 있어서는 수학은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외의 분야에서는, 수학은 과학적 발견을 분석하기 위한 도구에 지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상식적으로, 과학자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입니다. 연구를 하지 않는 과학자는 과학자가 아닙니다. 그런데 과학자들은 어떻게 연구를 할까요? 그들은 평소부터 약간 미쳐 있고, 흰 가운을 입은 채, 수상한 화학약품이 든 플라스크를 들고, 뭘 주저리주저리 혼잣말 하고 있겠죠? 그리고 그의 배경에 있는 칠판에는, 의미 불명의 수식이 빼곡히 적혀있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과학자라도 평범한 사람입니다. 흰 가운을 입는 건 생물학이나 화학 실험 분야에 입는 과학자들 뿐이죠. 무엇보다도 칠판 가득 수식을 적는 건,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이론을 설명할 때 정도입니다. 설명할 때는 객관성이 있는 수학적 논리가 필수적이니까요. 오히려 과학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새로운 아이디어입니다. 그리고 이런 아이디어들은 대개, 수학적 논리성과는 관계없는 곳에서 샘솟게 되는 법입니다. 친구들과 잡담을 하거나, 목욕탕에 들어가거나, 카페에 앉아 커피를 마실 때, 연구와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장면에서, 유레카의 순간은 번개처럼 느닷없이 우리의 전두엽을 강타하지요. 

사실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새로운 아이디어에는 통찰이 필수적이며, 이런 인간의 통찰이란 두뇌가 잔뜩 긴장한 상태가 아니라 약간 그 긴장감이 느슨해졌을 때야말로 발휘되는 법이니까요. 그리고 이러한 번뜩임의 순간에 수학적 논리성이 필요할까요? 딱히 필요하진 않습니다. 다만 그 샘솟은 아이디어를 실질적인 형태로 구체화시키는 후속 단계에서 수학이 필요하게 되는 거죠. 수학을 이용해 아이디어를 분석하고 나아가 검증하는 것입니다. 이게 어렵다면 수학을 잘하는 사람을 데려오면 됩니다. 전구를 발명한 토마스 에디슨도 수학에는 무지 약했습니다. 그래서 복잡한 계산이 필요할 때면 주변의 수학을 잘하는 사람들에게 부탁했죠. 따라서 수학을 못해도 과학자가 될 수 있습니다!

 

 

예상을 깨부순 엉뚱한 생활상식들!?!?

감기는 키스로 옮을까? 아이들은 왜 쓴맛을 싫어할까? 왜 녹음된 내 목소리가 이상할까? 하품은 왜 전염될까? 찻잔받침은 뭘 위해 존재하는거지? 김치는 원래부터 매웠을까?�

exidb.tistory.com

 

상상도 못했던 기이한 과학상식들!?!?

왜 C형 혈액형은 없을까? 죽기 직전에도 청각만은 살아있다! 닭이 먼저인가 달걀이 먼저인가? 사자는 의외로 비겁하다? 간지럼 공격에 웃음이 터지는 이유? 고장난 기계는 때리면 고쳐질까? 인간이 최강의 생물인 이유는!?�

exidb.tistory.com

 

상식을 벗어난 비범한 사회상식들!?!?

황인종의 장점은 대체 뭐지? 이기심은 인간의 본성인가? 치즈가 포탄 대신 전쟁에 쓰인 적이 있다? 오직 인간만 가축을 키울까? 왜 젊은 것들은 항상 버릇일 없을까? 한반도에는 언제부터 사람이 살았을까? 성경에서 누가 제일 사람을 많이 죽였을까?�

exidb.tistory.com

 

편견을 초월한 의외의 국제상식들!?!?

야외음주는 외국선 불법? 아서왕은 잉글랜드인이 아니다? 스위스에도 해군이? 영어에 존댓말이 없다고? 알라딘은 사실 중국인!? 바디랭귀지는 만국공통어? 중국 요리에는 생선회가 없다? 세계에는 왜 친일 국가가 많을까?�

exidb.tistory.com

 

기대를 빗겨간 놀라운 경제상식들!?!?

동전에 제조연도가 왜 있을까? 자판기 품절 표시는 거짓말? 통조림 캔은 왜 원기둥 모양? 일본은 어떻게 기술 강국이 되었을까? 인류 역사상 가장 큰 회사는? 

exidb.tistory.com

 

 

반응형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