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반응형
QR코드 개발에는 의외로 "이것"이 관여했다!?
2차원 바코드의 일종인 QR코드는 캐쉬리스 결제 수단으로서 사용되기도 합니다. 그 외에도 웹 사이트나 URL, 이벤트 티켓, SMS 메신저 친구 추가 등 QR코드는 그야말로 무궁무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QR코드 자체는 덴소(デンソー, Denso Corp.)가 발명해낸 것이지만, 이 발명에 힌트를 준 존재가 있습니다. 바로 "바둑"이죠.
당시 어떤 바코드 연구자는 1차원 바코드에 담겨질 수 있는 정보량의 한계를 느끼고 있었습니다. 그 연구자가 바둑을 접하면서, 정방형 기판 위에 흑돌과 백돌이 랜덤하게 놓여지는 모습을 보고 이에 착안하여 2차원으로 바코드를 만들어내는 아이디어를 얻게 된 것이죠. 이를 계기로 하여 1992년부터 새로운 2차원 바코드 개발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2년간의 개발기간을 거쳐 1994년에는 오늘날 우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QR코드" 완성됩니다.
이 QR코드를 통해 종축과 횡축 양방향으로 정보를 짜넣을 수 있게 되었으며, 기존의 1차원 바코드에 비교하면 수십~수백배의 정보량을 취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QR코드의 "QR"은 "Quick Response"의 약자라고 합니다. 현재 QR 코드는, 덴소의 자회사인「덴소 웨이브(デンソーウェーブ)」의 등록 상표로, 덴소 웨이브가 특허권을 행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우리 모두가 무료로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만 QR코드 기술을 변형 없이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한 것이며, 변형할 경우에는 덴소 웨이브의 허가가 필요합니다.
더보기
- 일본은 어떻게 기술 강국이 되었나?
- 인류 역사상 가장 큰 회사는?
- 농업은 정말 자연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할까?
- 일물 일가의 원칙(The Law of One Price)과 그 한계
- 블랙 기업의 유래
- 분수 이론과 그 문제점
- 낙수이론과 그 한계
- 1L 우유팩은 사실 1L가 아니다?
- 일벌은 정말 근면할까? 하루 노동시간은?
- 던킨 도너츠와 미스터 도넛의 관계는?
- 동전에 제조연도가 새겨져 있는 이유
- 드라마 속 회장님들은 왜 다들 국산차를 선호할까?
- 자판기 품절 표시는 거짓말이다
- 통조림 캔은 왜 원기둥 모양이나 직육면체 모양일까?
- 미국의 여객 철도 사업은 무능한 마인드 탓에 쇠퇴했다?
- 생산 자동화(Production Automation)의 장점과 단점
- 전세계 주요국 수출액 규모 비교
- 노벨상에 대한 몇가지 오해 - 일본의 노벨상 수상자 수는 저평가되어 있다
- 노벨상에 대한 몇가지 오해 - 일본이 노벨상을 받는 이유
- 노벨상에 대한 몇가지 오해 - 한국이 노벨상을 받지 못하는 이유
- 노벨상에 대한 몇가지 오해 - 노벨상은 그 나라의 국력을 반영한다?
- 올림픽의 저주
- 청나라는 정말 대외무역을 등한시했을까?
- 만주는 항상 소외받고 낙후된 지역이었을까?
- 인디언들은 왜 북미대륙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을까?
- 한국은 정말 중국에게 작은 나라에 지나지 않을까?
- 알루미늄은 한때 금보다 비쌌다!?
- 한국 반도체・조선은 세계 최고인데, 왜 GDP는 12위?
- 우주 비행사의 급여는 생각만큼 높지 않다
- 종이 재활용은 정말 친환경적일까?
- 이쑤시개 끝부분 홈, 왜 존재할까?
- 비싼 물건은 항상 비싼 값을 할까?
- QR코드 개발에는 의외로 "이것"이 관여했다!?
- 자동차를 살 수 있는 자판기가 존재한다고!?
- 왜 옷 사이즈가 달라도 가격은 그대로일까?
- 양말의 각도는 왜 직각이 아닐까?
반응형
'EXㅣ경제ㅣ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쑤시개 끝부분 홈, 왜 존재할까? (0) | 2021.01.27 |
---|---|
비싼 물건은 항상 비싼 값을 할까? (0) | 2021.01.27 |
자동차를 살 수 있는 자판기가 존재한다고!? (3) | 2021.01.26 |
왜 옷 사이즈가 달라도 가격은 그대로일까? (1) | 2021.01.26 |
양말의 각도는 왜 직각이 아닐까? (0) | 2021.01.26 |